산촌이 베푼 가르침
오염되는줄도 모르고
  22-05-11 09:48 이화순   

산골에 살면서 배운 것이 많다. 배움은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서 내게 깊이 스며들었다. 전에 물론 알았던 지식이 살아서 나와 하나가 되어 갔다. 전혀 다른 생활방식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사는 것은 흥미롭고 호기심이 신이 난 삶이다.

처음 산촌에 이사와 겨울을 아궁이에 불을 피우면서 살아야 했다. 나는 저녁마다 평생 처음 해보는 불장난으로 즐거웠다. 겨울에 보통은 저녁에 한차례 불을 땠지만 추운 날은 아침에도 장작을 때면서 재미있었다. 밭에 남아있는 옥수수대와 낙엽 및 각종 밭의 처리해야 할 것들 - 전에 살던 사람들이 남겨놓은 -이 모두가 내 불장난의 불쏘시개로 사용되었다. 그것도 내 일과의 하나가 되었고, 정리되어 가는 밭이 주는 재미가 쏠쏠했다.


온들방에서 자면서 느낀 것은 구들을 잘 놓는 기술이 매우 중요 할 것 같다. 내가 자던 방의 온기가 오래 지속되고 윗방까지 더우니 말이다. 오래 된 집의 온돌방은 잠을 잘 때 방이 점점 식는 것이 아니라 점점 뜨거워졌고, 아침까지 전혀 식지가 않았다. 

하지만 겨우내 나를 감동시켰던 온돌시스템이 전혀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었다. 아궁이와 붙어 있는 부엌에 놓인 하얀 냉장고와 전자레인지가 닦아도 며칠만 지나면 표면이 꼬질꼬질해 졌다. 씻어 엎어놓은 그릇, 찬장 안의 그릇도 며칠이 지나면 꼬질꼬질해 졌다. 

가끔은 묻힌 줄도 모르게 나의 어딘가에 숯검뎅이가 묻어 있었다. 묻힌 줄도 모르는 숯검뎅이, 미처 모르면 이부자리에 까지 검뎅이가 전파되었다. 그래서 나는 어디에서 숯검뎅이가 내게 묻는지 아궁이에서 불을 지피며 세밀하게 관찰했었다. 그리고 아궁이의 입구 틀과 주변 벽 등도 만져 보았다. 그 결과 단지 아궁이의 장작을 넣는 입구에서 묻는 것임을 알았다. 내 오른 팔이 장작을 넣고 불을 지피면서 나도 모르게 팔이 아궁이 입구의 오른쪽 벽에 자주 닿는 것이었다.

그렇게 숯검뎅이를 묻히지 않기 위하여 주의할 곳과 내 팔의 움직임을 주시해야 함을 알아차렸다. 그리고 웃도리 길이가 긴 옷은 입지 않아야 함도 챙겼다. 그래도 모르니 아궁이에서 장작불을 지필 때 전용 작업복을 입었다.

숯검뎅이와 연기로 인한 주위 오염을 보면서 보이지 않는 나의 의식관리 체계도 더욱 정비해야함을 깨우쳤다. 우리는 오염되는지 모르면서 오염되고, 한 번 오염되면 그 오염은 계속 주변에 확장된다. 옷에 묻은 검뎅이가 이불에 옮겨지듯이 말이다. 눈에 보이는 검뎅이도 늘 즉각적으로 알아차리는 것은 아니다. 하물며 보이지 않는 우리 의식체계에서의 오염은 알아차리기가 어렵다. 모르기에 더욱 의식에서의 오염이 위험한 것이고 확장력이 클 것이라 본다. 그러니 우리는 더욱 세심하게 자신을 관찰하고 주의 깊게 생각이 뻗어나가는 방향을 봐야 하고 자신의 언행을 봐야 함을 철저하게 배운 산촌에서의 첫 겨울이었다.

그리고 옷을 갈아입듯이 나의 의식 한 부분이 다른 부분의 인식체계에 작용하지 않도록 해야 함도 알아차렸다. 옷이 지저분해지면 갈아 입듯이 의식도 때에 따라 옷을 갈아 입힌다는 말이다. 그리고 오염의 근원적인 곳, 숯검뎅이에는 접근을 하지 않도록 경계하는 것이다. 이런 생각으로 나 자신을 다시 점검하며 나의 아궁이에 감사했다. 

요즈음 많은 사람이 손에 물도 안 묻히고 사는 것, 육체노동을 안 하는 것 등이 잘 사는 것이라 여기는 것 같다. 움직임이 부족한 몸을 위하여 따로 운동을 해야 하고, 흔하지 않은 것을 귀하다고 여기고 그런 것을 소유하고, 비싼 것이 좋은 것이라 여기는 것 말이다.

이런 삶의 방식은 보이지 않는 것을 대체로 무시하기가 쉽다. 그런 우리를 깨우치기 위하여 전염병 팬데믹(PANDEMIC)이 일어난 것이라 여겨진다. 보이지 않는 세균이 모르는 상태에서 전 인류에게 전염병의 공포를 안겨 주었다. 그러니 보이지 않는 가치, 관념, 의식체계 등을 살피면서 사는 사람들이 이제 적극적으로 확장되기를 바란다.

산촌의 한구석에서 나는 작은 꽃밭을 가꾸며, 자연에서 많은 가르침을 받으며, 감사하며 즐거움으로 산다. 그런 삶이 내게 베풀어졌음에 무한 감사를 한다. 5월의 햇살과 살랑이는 바람의 애무를 받으며 세상에 사랑을 전한다.


visionary 이화순 lhs@visionary.co.kr
이화순 기자님의 전체 기사보기
ⓒ Visionary Leader's Club (http://www.visionar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전체기사 758건
사랑을 받아 마땅한 우리다
2022-05-18
산촌이 주는 사랑!산촌의 변화를 훑어본다.추운 겨울에도 지표면에는 푸른 풀이 있다.그들의 힘으로 겨울을 보낸다.봄이 오고 꽃이 피기 시작한다.지금은 화려한 5월을 모두 즐긴다.녹음방초를 같이 이루어가고 있다…
으름나무 잎의 겨울나기
2022-05-14
지금은 5월 중순이다. 으름나무의 매력적이고 향기 높은 꽃이 거의 져간다. 지난 겨울 내내 내 마음을 애달프게 한 어린 으름나무가 있다. 그는 어린 나무를 감고 올라 지녔던 잎을 그대로 달고 추운 겨울을 지냈다.…
  
741 산촌이 베푼 가르침
2022-05-11
산골에 살면서 배운 것이 많다. 배움은 구체적인 사례를 보면서 내게 깊이 스며들었다. 전에 물론 알았던 지식이 살아서 나와 하나가 되어 갔다. 전혀 다른 생활방식으로 다른 문화권에서 사는 것은 흥미롭고 호기심…
  
독립된 존재로 살아가는 노인
2022-05-05
노인이 되면서 아직도 활발한 활동을 하는 사람을 보면 존경심이 솟구친다. 요즈음 국무총리 후보자인 한덕수씨도 나이가 76세라고 한다. 그는 아직도 일할 에너지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삶에서 만나는 문제를 분…
  
반면선생이 된 조국 전장관
2022-04-08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자식사랑'에 대한 오류를 바로잡기 위해 조국 전장관 일가가 있는 것 같다. 자발적으로 반면선생이 되어버린 그들, 조국 전장관 부부의 선택은 잘못된 가치체계에서 비롯되었다.…
  
성장
2022-04-03
사람은 저마다의 생각과 행동의 가치체계를 가지고 산다.살면서 자신의 정체를 알아차린다.삶의 목적의식을 찾아들고 성장을 하려 든다.성장이란 자신도 모르게 자신에게 깃들어 있는 잘못된 사고습관을 찾아내 버리…
  
균형
2022-03-30
나무를 보며 균형을 생각한다.물질에 대한 가치, 편중된 사회의 성향이 느껴진다.보이는 것에만 치중된 생각들이 보인다.잘사는 것이 무엇일까?행복이 무엇인가?이고 지고 사는 삶이 행복한가?수납공간이 중요한 주…
  
균형을 잡자
2022-03-19
세상이 빠르게 변화하면서 서로간에 얽힌 이해관계가 변화무쌍해 예측이 불가능해 보인다. 균형을 잃은 존재들이 비틀거리며 이리 쓰러져 얽히고 저리 쓰러져 얽혀있는 것 같이도 보인다. 학력이 높아진 세상, 하지…
  
행복한 세상의 시작은
2022-03-05
우리가 사는 세상은 늘 변화하는듯 하지만 늘 여전한 모습으로 사람과 함께 한다. 하지만 이를 사람마다 다르게 본다. 그것은 살면서 주입되거나 자신이 받아들인 생각대로 세상을 바라보고, 자신의 시각에 따라 대…
  
자신감이 넘치는 삶을
2022-02-24
우리는 자신의 삶을 살면서 성장하고, 점점 많은 것을 보고 듣고 이해하게 된다. 사람들 간에 약속된 것들을 가정과 학교 등에서 배우고, 자신의 지식들을 가지게 된다. 그런데 그 지식 조각들이 제대로 된 것이 아…
운을 초래하는 미지의 힘
2022-02-19
공시성(共時性)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던 작가 어셔 케스텔러는 "도서관의 천사"라는 말을 만들어냈다. 도서관의 천사라는 말은 조사를 하고 있으면 필요한 정보가 바로 그 순간에 발견되는 매우 운이 좋은 경우가 …
  
노고지리, 종다리
2022-02-16
산촌을 걷다 새들을 많이 본다. 다른 모습, 다른 소리들... 갑자기 "동창이 밝았느냐 노고지리 우짖는다" 라는 시조가 생각났다. '노고지리'가 새이름인데, 시조가 있다면 나의 산촌에도 있을텐데. 그런데 새의 정체…
  
아름다운 사람되기
2022-02-13
대체로 사람들은 삶에 대해 알고 싶어 하고, 제대로 훌륭한 존재로 살고 싶어 한다. 그래서 대체로 깨달은 분들의 말씀을, 좋은 글이라 여겨지는 것을 읽고 듣고 본다. 하지만 보면서도 그것을 행동으로 옮기지는 못…
공명으로 커지는 존재감
2022-02-12
나의 낙원인 적막한 산촌에서의 삶은 고요하고 평화롭다. 또한 단순하고 편안하다. 지저귀는 새들은 삶이 늘 기쁨임을 노래한다. 따사로운 햇살이 어루만지는 나의 등, 따뜻함이 흐르면서 사랑을 왕창 받는 존재임을…
  
나는 관광객이다
2022-02-07
나는 고요한 산촌에서 세상을 관람하고 있다. 또한 사람들의 세상살이를 관광하고 있다. TV라는 매체를 통해 나를 찾아와 보여주는 삶의 모습들, 신기하고 재미있고 놀랍고 감동적이고 황당하기도 하다.TV를 통해 물…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