얻어 먹으며 사니 기쁩니다
No, 습관성 노동중독증
  21-10-29 11:01 이화순   

놀고 먹으며 사는 존재로, 산촌을 즐기며 사니 고마움이 넘칩니다. 소유한 것이 하나도 없는 존재로 사니 삶이 가쁜합니다. 나비와 같은 존재가 되기로 마음 먹고 살다보니 정말로 그런 존재가 되었습니다. 소유한 것이 없으니 몸이 가벼워 산촌을 날아다닐 수 있습니다. 먹을 것도 자연이 베풀고, 나비가 꽃에서 얻어 먹듯이 산촌의 사람들에게서 얻어 먹으면서 또 고마움이 넘칩니다.

그런 나는 산촌 농군들의 삶을 들여다 보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노인네들은 이미 돈을 쓸 일이 거의 없습니다. 자식들은 이미 늙기 시작했고, 각자 알아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자식들에게 김치를 해서 날라야 된다고 여기는게 여전합니다. 고추를 장만해서 보내야 하고, 곡식을 보내야 하고 등의 생각은 젊어서 했던 것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노인네들은 자신을 혹사하며, 아프다고 외치며 일을 합니다. 그런 그들은 돈을 쓸 시간도 없습니다. 사실 돈을 써보지 못해서 어디에다 써야 하는지도 모를 것 같습니다. 간혹 어울려 식사를 해도 밥값내기를 싫어하며 한 번 쥔 주먹은 펼 줄을 모릅니다. 그러니 노인네들은 모두 넉넉한 돈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가진 것은 없어도 나는 부자입니다. 어쩌다 어울리는 사람들과의 식비를 내면서 부자임을 느끼며 그런 여유가 있음에 고맙습니다. 아주 작은 돈이지만 국민연금이 정해진 날에 정확히 들어오니 그에 맞추어서 부자로 삽니다. 서울이 아니기에 부자로 살 수 있습니다. 버스비는 한 달에 몇 천원 씁니다. 아직도 건강한 다리가 나의 중요한 교통 수단입니다. 

내가 내는 밥값은 또다른 식품을 내게 물어다 줍니다. 다음 기회의 밥을 얻어먹게 합니다. 이러니 서로 '고맙습니다'를 하게 되니 긍정적인 흐름을 만드는 것 같습니다. 마을의 농군들은 너무 바빠 그런 흐름을 만들려고 계속 시도했으나 별로 이루어지지가 않았습니다. 그러다 면사무소 소재지인 곳에 있는 단골식당을 중심으로 그런 흐름이 이제 제대로 만들어져 갑니다. 고마운 일입니다.


혼자 먹는 밥, 그것도 제대로 하는 식사는 점심 한 끼입니다. 그런 식사를 위해서 음식재료를 준비하는 것은 무리라고 생각했고, 게으른 나는 움직거리기가 싫습니다. 그래서 얻어 먹어야 한다고 여겼고 여전히 그렇게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니 음식을 하는 데 필요한 기본 양념 등을 거의 장만하지 않고 삽니다. 지난 봄에 식당에서 고춧가루 한 숟가락 얻어온 것이 아직도 남아 있습니다. 간장 된장 고추장은 근처 절에서 얻어 옵니다. 김장김치는 여기저기에서 얻어집니다. 

이런 나는 노인네들이 많은 음식과 식품을 장만하는 사람들을 보면 걱정이 앞섭니다. 못먹으면 버려질테니 이도 지구에 해를 끼치는 것이라 여겨지기에. 나라도 얻어 먹으면서 그 양을 덜어주는 것이 지구의 건강에 협조하는 것이라 여깁니다. 그러면서 먼저 얻어먹고, 적당한 기회에 보답을 하고, 그러다 나눔의 흐름이 형성되고, 그 흐름을 타고 긍정의 기운과 정이 흐른다고 여깁니다. 웃음도 그 흐름에 올라 타고 그런거라고 봅니다. 힘을 주어 주먹을 꽉 쥐고 사는 것 보다 힘을 빼고 주먹을 좌악 펴고 사는 것이 편안한 삶이라 여깁니다.

도시의 삶도 마찬가지일 겁니다. 소유의 일변도를 벗어나고, 자신의 필요를 점검하고, 그에 맞는 적당한 돈벌이를 검토했으면 합니다. 사람이 사는 데 그렇게 많은 것이 필요하지 않은 것이라 봅니다. 꼭 도시에 몰려 사는 것, 좋다는 스펙, 그런 것이 삶의 질을 결정하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스트레스를 벗어난 삶이 우리가 추구해야 할 삶이라고 봅니다. 우리는 한 점에 모여서 경쟁하고 이기기 위해 사는 것이 아니라 저마다에게 맞는 공간에서 저마다의 삶의 방법으로 살아야 함을 긍정적으로 생각했으면 합니다.

'늙어서도, 힘들다면서도, 아프다면서도, 일을 해야 한다'는 설정을 벗어던지고 살기를 소망합니다. 얻어 먹으면서 사니 삶과 세상이 기쁨으로 답을 줍니다.


visionary 이화순 lhs@visionary.co.kr
이화순 기자님의 전체 기사보기
ⓒ Visionary Leader's Club (http://www.visionar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전체기사 758건
  
본연의 삶을 살자
2021-11-20
사람은 누구나 다 행복을 추구한다고 본다. 그리고 그 행복이란 것은 지금이라는 순간 느껴야 행복이라고 본다. 그런 삶을 위해 우리가 가져야 할 자세와 생각 그리고 우리의 시각은 자신이 행복한 존재라는 것, 건…
  
멍때리고 산다
2021-11-16
나는 자주 멍때리고 산다. 그러다 보니 시간의 흐름을 잘 알지 못한다. 불과 며칠 전의 어떤 일은 오래전에 일어났던 것으로 느껴지기도 하고, 청소하는 일이나 화분에 물주는 일은 금방 수행했다는 생각이 든다. 이…
반면스승
2021-11-13
세상을 살면서 많은 사람을 만난다. 또한 다양한 상황, 다채로운 미지(未知)의 세계를 만난다. 많은 '모름'을 끌어안고 삶을 살아간다. 그러니 만나지는 모든 상황, 사람들에게서 가르침을 받고 배울 수 밖에 없다. …
  
비저너리로 산다
2021-11-11
지금, 우리 사회뿐 아니라 세계 전반이 혼란스럽다. 이상 기후 문제, 지구 환경 문제, 세계가 하나로 돌아가는 유통의 문제, 그러니 어디 한군데서 조금 삐걱 거리면 전세계가 심하게 요동을 친다. 거기에 COVID-19…
  
반면스승인 산촌의 할머니들
2021-11-09
산촌에 들어서면서 허리가 반듯한 할머니들이 거의 없는 것을 보고 경악했다. 단순히 허리가 굽은 것이 아니라 90도 넘게 굽어 땅바닥만을 보고 걷는 분도 있다. 허리가 굽고 또 옆으로도 휘어 힘들어 보이는 몸으로…
  
대전환기
2021-11-07
지금 우리 인류가 의존하고 있는 지구와 인류가 지극히 위태롭게 느껴진다. 그리고 그런 위기의식을 가진 인류는 아직도 '설마'하며 여전한 삶, 획기적인 물질문명을 즐기고 있는 것으로도 보인다. 과거 삶의 형태, …
  
대전환 작업에 성공
2021-11-06
요즈음 세상의 변화를 보면서 우리 모두가 대전환을 해야 할 때가 왔다고 여긴다. 삶의 방식, 의식, 가치관 등이 외적인 변화와 균형을 맞추어 획기적인 전환을 확실히 해야 한다. 그런 전환작업이 무엇인지 성공리…
  
리모델링하며 사는 삶
2021-11-04
대도시에서의 고단한 삶을 던져버리고 새로운 존재로 거듭나는 꿈을 꾸었습니다. 그리고 그 꿈을 이뤘습니다. 도시에서 바라보던 시각을 걷어들이고, 자연을 바라보기 시작했습니다. 도시, 예로 동쪽 만을 바라보던 …
삶이란?
2021-11-02
파란 하늘흰 구름알록달록 산저마다 아름다움을그 속에 나도 작은 아름다움이었으면 한다산을 보며 걷는다산, 산, 산, 그들은 지속되어 막힌 공간인 듯한 산촌하지만 꼬불꼬불 연결되어 열린 세상이다그 세상에 살고…
  
704 얻어 먹으며 사니 기쁩니다
2021-10-29
놀고 먹으며 사는 존재로, 산촌을 즐기며 사니 고마움이 넘칩니다. 소유한 것이 하나도 없는 존재로 사니 삶이 가쁜합니다. 나비와 같은 존재가 되기로 마음 먹고 살다보니 정말로 그런 존재가 되었습니다. 소유한 …
  
유순하게 나를 길들이며
2021-10-19
세상살이를 서울에서만 하다가 늙어가며 칩거할 공간으로 산촌을 찾아냈다. 산촌이라는 공간에서만 오래 살아온 그곳의 사람들을 만났다. 사는 공간이 다르다는 것은 삶의 방식이 다른 사람, 삶의 틀을 다르게 설정…
  
땅차지 게임
2021-10-17
요즈음 TV를 통해 정쟁을 하는 정치인들을 본다. 어린 시절 푹 빠졌던 흥미진진 했던 춘추전국시대를 배경으로 한 수많은 소설, 군웅할거 등이 떠오른다. 수천 년 전의 땅차지 게임, 게임의 전략과 전술이 지금의 정…
  
사느라 수고 많습니다
2021-10-12
살면서 만난 수많은 사람들, 다들 자신의 수고를 얘기합니다.이런 얘기 저런 얘기 본론에 씌운 장식들을 치우면 결국 삶의 수고를 말하는 겁니다.으쓱 거리며 자신이 가진 것들을 과시합니다.그것은 그런 결실을 만…
  
가을이 오는 길
2021-10-10
가을이 오는 길, 그는 3보 전진 2보 후퇴를 하며 다가 온다.어느덧 낙엽을 떨구며 걸음이 빨라지는 가을, 쌀쌀함과 쓸쓸함을 본격적으로 나타내려 한다.그는 이제 이제 3보 전진만 하려나 보다.산촌의 농부들은 가을…
  
꽃봉오리에서 꽃잎이 벌어지기까지
2021-10-09
산촌의 작은 꽃밭이 있는 집에 살면서 여러 꽃들이 피고 지는 모습을 본다. 꽃이 곧 필 것임을 알리며 꽃봉오리가 생겨나고 천천히 큰다. 그러나 그 곧은 쉽사리 오지 않는다. 생각 밖으로 '천천히'는 정말로 천천히…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