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란?
달라이 라마
  20-12-17 09:46 이화순   

기억하게. 우리 목적은 불교도를 더 많이 만드는 게 아니라 깨달은 사람을 더 많이 만드는 거네. 불교을 가르치되 불교도가 되라고 독려하지는 말게. 그저 마음 안에 사랑, 자비, 모든 것에 대한 보편적 책임감, 지혜 같은 것을 기르도록 독려하게. 어떤 사람들은 강한 업의 인연이 있어 정식으로 불교도가 되려고 할 수도 있을 것인데, 그런 경우라면 허용할 수 있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강조되어야 할 것은 내면의 영적 가치이지 , 특정 종교에 헌신하는 것은 아닐세.

위의 글은 '깨달음의 길(달라이 라마)'의 서문에서 인용한 것이다. 이 서문은 영문 번역자인 글렌 뮐린이 쓴 것이다.

글렌 뮐린이 강연회 투어를 떠나기 전에 달라이 라마는 만났을 때 달라이 라마가 한 말이라고 한다.

종교가 무엇인지 어떠 해야 하는지 명료하게 알려주는 말이다. 선각자들은 그들처럼 우리 모두가 깨달음을 가지기를 소망한다. 그것이 성숙을 향한 길이기 때문이다.

 

이화순 기자님의 전체 기사보기
ⓒ Visionary Leader's Club (http://www.visionar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름 패스워드 비밀글

전체기사 214건
나의 구원자
2020-12-23
'깨달음의 길(달라이 라마)'에서 만난 부처님의 말씀."내가 나의 구원자이며, 내가 나의 적이다." 깨달음의 길을 가다보면 알게되는 것이다."마음은 모든 일의 선각자이다." 이 말도 역시 깨달음의 길을 가다 알게 …
자세
2020-12-22
전 세계에 걸쳐 많은 종교단체와 수련단체가 번창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절실하게 부족한 것은 가르침 자체가 아니라 그 가르침을 공부하고 진지하게 수행하려는 자세입니다. 이 세상에는 수행의 길을 우리에게 …
성장, 나아지는 것
2020-12-19
나아지는 걸 축하합니다. 작년보다 더 훌륭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었으면, 그걸 축하하는 겁니다. 하지만 그건 자기 자신만이 알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티를 열어야 할 때가 언제인가를 말할 수 있는 사람은 자…
종교지도자의 자세
2020-12-17
그가 쓴 서문에는 종교 지도자가 어떠해야 하는지 알려주는 글도 있다.달라이 라마가 델리 대학에서 강연을 하고 인도 대통령과 점심 약속이 있었다고 한다. 강연이 끝나고 질문을 하라고 했더니 한 학생이 바보 같…
195 종교란?
2020-12-17
기억하게. 우리 목적은 불교도를 더 많이 만드는 게 아니라 깨달은 사람을 더 많이 만드는 거네. 불교을 가르치되 불교도가 되라고 독려하지는 말게. 그저 마음 안에 사랑, 자비, 모든 것에 대한 보편적 책임감,…
  
몰랐다
2020-11-30
나는 사업 전략과 관행 그리고 가족 관계는 어떠해야 하며 인생에서 친구란 참으로 소중한 존재임을 너무도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모두 다 중요한 관심사들을 어떻게 해야 조화있게 유지할지 알지 못했다. 그…
visionary의 생각
2020-11-24
노인은 자기 삶의 주체자가 되어 삶의 의미를 찾고, 젊어서 평생 짊어진 것들을 하나 하나 내려놓고 버리면서 가벼워져야 한다. 노인이 되면 짐을 질 기운도 줄고, 기억력도 감퇴한다. 그에 맞게 자신을 비우고 …
심우도
2020-11-20
심우도의 대체적인 내용은 처음 선을 닦게 된 동자가 본성이라는 소를 찾기 위해서 산중을 헤매다가 마침내 도를 깨닫게 되고 최후에는 선종의 최고 이상향에 이르게 됨을 나타내고 있다. 곽암의 심우도를 각 단계…
  
너는 존귀한 존재
2020-11-16
오, 나의 정신이여, 너는 네 자신을 학대하고 또 학대하고 있구나. 그것은 네 자신을 존귀하게 할 기회를 스스로 없애버리는 것이다. 인생은 한 번뿐이고, 너의 인생도 끝나가고 있다. 그런데도 너는 네 자신을 …
늘 흔들리는 마음
2020-11-16
법구경에 다음과 같은 글이 있어 소개한다. 알아보기 어렵고 아주 미묘하고 욕망에 따라 흔들리는 마음을 지혜로운 이는 지켜야 한다 잘 지켜진 마음이 평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홀로 멀리 가며 자취도 없이 가슴…
위험한 무기가 될 수 있는 교의
2020-11-15
주로 신앙과 감동에 의지하는 교의는 어떤 교의라 하더라도 아주 위험한 무기가 될 수 있지 위의 글은 아이작 아시모프의 '파운데이션'에서 인용아이작 아시모프는(1920 - 1992 천재적인 SF작가로, 그는 생화학 전…
  
가지 않은 길
2020-11-15
단풍 든 숲 속에 두 갈래 길이 있었습니다몸이 하나니 두 길을 가지 못하는 것을안타까워하며, 한참을 서서낮은 수풀로 꺾여 내려가는 한쪽 길을멀리 끝까지 바라다보았습니다그리고 다른 길을 택했습니다, 똑같이…
경험의 중심체
2020-11-13
우리는 각자가 경험의 중심체이다. 우리는 경험을 함으로써 특정한 방식으로 우리 자신이 인간임을 실감한다. 사람이란 내면의 시각과 내면의 세계를 지닌 육체적 존재다.페터 비에라, '삶의 격'에서 인용경험의 …
존재가 갈리는 지점
2020-09-28
    애벌레한테는 끝인 것이 사실 나비한테는 시작이죠. 베르나르 베르베르 '기억'에서
쾌감과 고통의 대비효과
2020-09-28
     오래 불편함이 지속되고 난 뒤에 찾아보는 쾌감은 아무리 소박할지라도  희열의 순간을 선사하죠. 베르나르 베르베르, '기억'에서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