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프랭클린의 의식적인 연습 한 조각 |
타고난 작가? |
|
|
엔절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에서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의 의식적인 연습에 관련된 부분을 인용한다.
구체적인 약점들에 초점을 맞추고 끈질기게 반복 연습했다. 예를 들어 프랭클린은 논리적 주장을 펼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글을 읽으면서 메모한 쪽지를 뒤섞고 뜻이 통하도록 순서대로 배열하는 연습을 했다. "이는 사고의 전개방식을 배우기 위해서였다." 또한 언어 구사력을 높이기 위해 산문을 운문으로 운문을 산문으로 옮기는 연습도 반복했다.
프랭클린의 재치 있는 명언들을 생각하면 그가 처음부터 '타고난' 작가가 아니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 프랭클린의 말로 이 문제를 마무리 짓는 것이 좋겠다. "노력 없이 얻어지는 결실은 없다." 나를 위시해서 내가 살펴 본 주변의 많은 사람들, 대체로 생각을 하지 않고 아니 자신의 행동을 의식하지 않고 산다. 의식 없이 하는 노력, 자신의 부족한 부분을 알아차리지 못한다. 의식적인 연습이 가능하려면 자신을 살피고 알아차리고 자신의 보완이 필요한 부분을 인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
|
관리자 기자님의 전체 기사보기 |
ⓒ Visionary Leader's Club (http://www.visionary.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
|
|
|
|
전체기사
214건
|
|
|
바쁜 상황에서 벗어나야 하는 이유
|
2017-08-28 |
자신을 잘 챙겨들고 삽시다.
사람들이 누군가에게 기회를 주지 못하는 건 일을 멈추지 않기 때문이야. 일을 멈추지 않으면 바로 앞에 있는 기회도 보이지 않는 법이거든. 더 많은 사람들이 일을 멈추고 주위를 둘러… |
|
|
우리의 말은 제시이다
|
2017-08-17 |
말을 우리는 늘 하며 산다. 하지만 그 말이 때로는 누군가에게 상처를 주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위로가 되기도 한다. 또 도전할 용기를 주기도 하고 생각의 단초를 제공하기도 한다. 말을 하는 자신을 우리는… |
|
|
누군가의 삶을 변화시켜
|
2017-08-15 |
"1 세기에 한 순간 나의 말 한 마디, 행동 하나가 누군가의 삶을 변화 시켰다. 나도 모르게." 리처드 바크의 '꿈꾸는 마리아'라는 소설 서문의 시작점에서 인인용했다. 말 한 마디가 이렇게 중요하다. 파급되는 영향… |
|
|
121
프랭클린의 의식적인 연습 한 조각
|
2017-08-15 |
엔절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에서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의 의식적인 연습에 관련된 부분을 인용한다.
구체적인 약점들에 초점을 맞추고 끈질기게 반복 연습했다. 예를 들어 프랭클린은 논리적 주… |
|
|
미지의 힘을 증명할 기회
|
2017-08-11 |
책을 보다 같은 생각을 글로 만나면 기쁘다. 그래서 저자는 책을 놓고 나와 친구가 된다. 주변에서 만나지는 사람들과는 하지 못하는 진정한 대화를 그들과는 할 수가 있다. 고마운 일이다. 아래 인용한 글은 리처드… |
|
|
열반
|
2017-07-30 |
실로 이것은 평온이며, 뛰어난 것이며, 모든 형성(諸行)의 종식이며, 모든 존재의 의지처(upadhi)의 파기이며, 갈망의 소진이며, 무탐이며, 멸이며, 열반이라고 한다. &… |
|
|
행위-업
|
2017-07-30 |
이 세상에 원인 없이 존재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있을 수 없다는 가르침을 통해서 언뜻 보기에는 생래적으로 불공평한 것들의 원인을 설명해 주고 있다. 그리고 우리들의 잠재적인 성향뿐만 아니라, 우리 삶의… |
|
|
행위의 상속자
|
2017-07-30 |
비구들이여, 모든 중생들은 자신들의 행위(業)의 소유자이며, 행위의 상속자이고, 행위로부터 태어났으며, 행위에 묶여 있고, 행위를 피난처로 하고 있다. 선한 행위이든지 악한 행위이든지 그 어떤 행위라 하더라… |
|
|
살아갈 만한 가치
|
2017-07-27 |
우리가 살아갈 만한 가치를 발견하지 못한 채 살아간다면 그 인생은 무언가가 부족한 인생이다. 이 상실은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닌, 그저 참아내는 삶으로서 우리의 인생에 어두운 그림자를 드리운다, 그럴 때 … |
|
|
담마(法)
|
2017-07-21 |
담마(法)
"담마는 그 전체가 붓다가 발견하고 , 깨닫고, 선포한 해탈에의 가르침이다.""담마는 계시의 교설이 아니라, 실재(實在)에 대한 분명한 앎을 바탕으로 한 깨달음의 가르침이다. 담마는 인생의 근본적인… |
|
|
완성된 인간의 이상
|
2017-07-18 |
붓다, 깨달은 분붓다는 신도 아니며 신의 예언자나 화신(化身)도 아니다. 오히려 그분은 자기 자신의 노력을 통해서 궁극적인 자유(解脫)와 완전한 지혜를 얻어서 천신과 인간들 가운데에서 견줄 이 없는 스승이 … |
|
|
더한 것도 견딜 수 있어
|
2017-07-14 |
앤젤라 더크워스의 '그릿(GRIT)'에서 발췌 했습니다.
핀란드인에게는 그들이 시수(sisu)라고 부르는 정신이 있다. 이는 무모함과 용기, 잔인함과 끈질김, 대부분이 포기한 뒤에도 이기겠다는 의지로 계속 싸우는 … |
|
|
길을 가리키는 분
|
2017-07-13 |
"자신의 수행을 통해서 현재 이 생에서 아라한이 될 수 있다는 받아들이고 받아들이지 않고는 개인의 문제이다. 불교는 누구에게나 그 길이 열려있음을 가르치고 있을 뿐이다. 붓다는 길을 가리키는 분. 길은 각자 … |
|
|
바른 사유
|
2017-07-07 |
바른 사유(正思惟)
비구들이여, 바른 사유란 무엇인가. 갑각적인 욕망이 없는 마음가짐, 나쁜 의도가 없는 마음가짐, 남을 해치려는 의도가 없는 마음가짐, 이것이 바른 사유이다.[長部] 22 [大念處經] DNII 312냐… |
|
|
보물찾기
|
2017-06-22 |
"내게 부족한 것에 집착하기보다는 삶이 내게 준 기회에 감사하며, 내 깊은 곳에서 보물찾기를 하게했다. 우리에게 새로운 성취의 기회를 불러오는 것은 불행을 극복하고 그것을 긍정적 에너지로 변환하려는 우리의 … |
|
|
|
 |
|
 |
|